메인메뉴로 이동 본문으로 이동

lnb영역

종사자 지원사업 소개

고객센터

1661-2129

평일 : 09:00~18:00 / 토,일, 공휴일 휴무

컨텐츠 내용

  1. 종사자 지원사업 소개
  2. 교육지원사업

종사자 교육지원사업

종사자 교육지원사업

  • 직무교육

    직무교육은 전담사회복지사와 생활지원사의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업무 수행을 위한 교육으로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수행인력이라면 반드시 이수하여야 하는 교육입니다.

    1. 교육기간 : 2025. 1. ~ 12.
    2. 교육대상 :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전 종사자
    3. 교육기관 : 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중앙노인돌봄지원기관)
    4. 교육내용 :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업무 수행을 위한 직무교육
    5. 교육구분
       - 신규자 : 2024년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직무교육 미이수자
       - 경력자 : 2024년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직무교육 이수자
       
    6. 교육방법 : 배움터(LMS)를 통한 종사자 개별 온라인 교육
    구분 전담사회복지사 생활지원사생활지원사
    광역, 일반 및 중점 특화서비스
    기본교육 14차시 22차시 20차시
    심화
    교육
    신규자 29차시 27차시 11차시
    경력자 8차시 이상 8차시 이상 6차시
    소계 신규자 43차시 49차시 31차시
    경력자 22차시 30차시 26차시
    1. (차시) 온라인 교육 회기 단위(1차시는 약 30분에 해당)
    2. (심화교육) 주제별로 선택하여 수강(직군별, 유형별 상이)
    전담사회복지사 직무교육
  • - 신규자 과정 : 총 43차시 (기초 14차시+심화 29차시)

    구분 주제 과목명 교육내용 교육차시
    기본교육 기본교육 노인맞춤돌봄
    서비스의 이해
    노인맞춤돌봄
    서비스의 이해
    노인맞춤돌봄
    서비스의 이해
    노인맞춤돌봄
    서비스의 이해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추진배경 및 개요(사업 개요, 제공체계 및 인력구성 등)

    2025년도 지침 주요 변경사항 안내

    3차시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제공절차의 이해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제공관리의 이해와 실제

    이용자 특성 및 서비스 욕구 분석

    서비스 제공 절차별 필요기술 적용 방법(절차별 수행방법, 서식 작성 등)

    6차시
    종사자의 자세 종사자의 자세 사회복지 실천윤리 사회복지 실천윤리

    사회복지실천의 가치와 윤리

    -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윤리적 의사결정

    2차시
    종사자의 인권과
    안전관리
    종사자의 인권과
    안전관리

    인권의 이해, 종사자 인권보호의 중요성

    인권침해 유형에 따른 예방 및 대응법

    주체별 인권침해의 예방 및 대응

    3차시
    소계 14차시
    심화교육 심화교육 고위험 노인관리 고위험 노인관리 자살예방 자살예방

    자살 경고 신호에 대한 이해 및 위험성 평가

    자살위기 상담기술, 응급상황 시 법적 절차

    2차시
    학대예방 학대예방

    학대신호 및 발견 방법

    노인복지시설 내 학대사례 및 조치방안
    ※ 법정의무교육(노인학대 예방 교육) 이수 갈음

    2차시
    치매예방 치매예방

    치매의 정의, 종류, 특징

    치매 대상자의 돌봄 기술

    2차시
    노인상담 노인상담 내러티브 노인상담의 이해 내러티브 노인상담의 이해

    내러티브 상담의 기본배경

    내러티브 상담을 적용한 치료적 대화, 기법

    5차시
    사례관리 사례관리 사례관리의 실제 사례관리의 실제

    사례관리 구성체계의 이해

    사례관리 단계별 개입방법

    4차시
    프로그램 프로그램 프로그램 기획과 운영 프로그램 기획과 운영

    프로그램 계획서 작성법

    노인맞춤돌봄서비스 프로그램 운영사례

    4차시
    ICT ICT 스마트 돌봄 스마트 돌봄

    스마트 돌봄의 이해

    스마트 돌봄사례(공공, 민간)

    2차시
    자원연계 자원연계 지역사회 자원연계의 이해 지역사회 자원연계의 이해

    지역사회 연계 및 활용 가능한 공공복지 안내

    지역사회 자원연계 활용사례

    2차시
    종사자의 자기돌봄 종사자의 자기돌봄 관계성장을 위한
    자기이해
    관계성장을 위한
    자기이해

    자기이해 및 탐색방법

    자기이해를 바탕으로 한 동기면담 탐색

    2차시
    노무 실무의 이해 노무 실무의 이해 종사자가 알아야 할 기초 노무 지식 종사자가 알아야 할 기초 노무 지식

    종사자가 알아야 할 기초 노무지식(근로계약, 휴가, 임금, 퇴직)

    4차시
    소계 29차시

    - 경력자 과정 : 총 22차시 (기초 14차시+심화 8차시 이상)

    구분 주제 과목명 교육내용 교육차시
    기본교육 기본교육 노인맞춤돌봄
    서비스의 이해
    노인맞춤돌봄
    서비스의 이해
    노인맞춤돌봄
    서비스의 이해
    노인맞춤돌봄
    서비스의 이해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추진배경 및 개요(사업 개요, 제공체계 및 인력구성 등)

    2025년도 지침 주요 변경사항 안내

    3차시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제공절차의 이해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제공절차의 이해

    이용자 특성 및 서비스 욕구 분석

    서비스 제공 절차별 필요기술 적용 방법(절차별 수행방법, 서식 작성 등)

    6차시
    종사자의 자세 종사자의 자세 사회복지 실천윤리 사회복지 실천윤리

    사회복지실천의 가치와 윤리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윤리적 의사결정

    2차시
    종사자의 인권과
    안전관리
    종사자의 인권과
    안전관리

    인권의 이해, 종사자 인권보호의 중요성

    인권침해 유형에 따른 예방 및 대응법

    주체별 인권침해의 예방 및 대응

    3차시
    소계 14차시
    심화교육 심화교육 노인정책 노인정책 노인복지의 이해 노인복지의 이해

    노인복지의 주요 변천사

    노인복지법 및 사회보장제도 안내

    3차시
    고위험 노인관리 고위험 노인관리 자살예방 자살예방

    자살 경고 신호에 대한 이해 및 위험성 평가

    자살위기 상담기술, 응급상황 시 법적 절차

    2차시
    학대예방 학대예방

    학대신호 및 발견 방법

    노인복지시설 내 학대사례 및 조치방안
    ※ 법정의무교육(노인학대 예방 교육) 이수 갈음

    2차시
    치매예방 치매예방

    치매의 정의, 종류, 특징

    치매 대상자의 돌봄 및 예방방안

    2차시
    상담 상담 내러티브 노인상담의 이해 내러티브 노인상담의 이해

    내러티브 상담의 기본배경

    내러티브 상담을 적용한 치료적 대화, 기법

    5차시
    강점관점 해결중심
    상담의 이해
    강점관점 해결중심
    상담의 이해

    강점관점 해결중심 상담의 이해

    기법을 활용한 돌봄서비스 상담 방법

    7차시
    동기강화 상담의 이해 동기강화 상담의 이해

    동기강화 상담의 이해

    기법을 활용한 돌봄서비스 상담 방법

    5차시
    인지치료 상담의 이해 인지치료 상담의 이해

    노인 상담사례를 통한 인지치료 상담

    개인, 가족 개입의 사례 접근 방법

    4차시
    사례관리 사례관리 사례관리의 실제 사례관리의 실제

    사례관리 구성체계의 이해

    사례관리 단계별 개입방법

    4차시
    고위험 노인의
    사례관리
    고위험 노인의
    사례관리

    노인 정신건강의 기본원칙

    고위험 노인(우울, 알코올, 자살)의 개입방법

    4차시
    노년기 정신건강의
    문제와 인지기능
    저하의 이해
    노년기 정신건강의
    문제와 인지기능
    저하의 이해

    노년기 정신건강 및 사례

    정신질환의 종류 및 대처방법

    4차시
    프로그램 프로그램 집단프로그램의 이해와 실제 집단프로그램의 이해와 실제

    노인복지 및 집단프로그램의 이해

    집단프로그램 지도 방법

    4차시
    프로그램 기획과 운영 프로그램 기획과 운영

    프로그램 계획서 작성법

    노인맞춤돌봄서비스 프로그램 운영사례

    4차시
    조직・실무 조직・실무 아름다운 직장문화
    만들기
    아름다운 직장문화
    만들기

    직장 내 예절 및 대화기술

    2차시
    종사자가 알아야 할
    기초노무지식
    종사자가 알아야 할
    기초노무지식

    종사자가 알아야 할 기초 노무지식(근로계약, 휴가, 임금, 퇴직)

    4차시
    관계성장을 위한
    자기이해
    관계성장을 위한
    자기이해

    자기이해 및 탐색방법

    자기이해를 바탕으로 한 동기면담 탐색

    2차시
    지역사회 연계 및
    ICT
    지역사회 연계 및
    ICT
    스마트 돌봄 스마트 돌봄

    스마트 돌봄의 이해

    스마트 돌봄사례(공공, 민간)

    2차시
    지역사회 자원연계의 이해 지역사회 자원연계의 이해

    지역사회 연계 및 활용 가능한 공공복지 안내

    지역사회 자원연계 활용사례

    2차시
    특화서비스의 이해 특화서비스의 이해 특화서비스 집단별
    접근방법
    특화서비스 집단별
    접근방법

    대상자 특성 및 집단별 개입방법

    집단별 주요서비스 및 개입 결과 사례

    2차시
    특화서비스 행정실무 특화서비스 행정실무특화서비스 행정실무

    제공단계별 사례를 활용한 서식 작성 연습

    2차시
    특화서비스 집단
    프로그램의 실제
    특화서비스 집단
    프로그램의 실제

    집단 대상의 실천 및 기획방법

    집단 프로그램 운영 및 발달 단계별 과업

    2차시
    전체 과목 중 8차시 이상 수강

    - 특화서비스 신규자 과정 : 총 49차시 (기초 22차시+심화 27차시)

    구분 주제 과목명 교육내용 교육차시
    기본교육 기본교육 노인맞춤돌봄
    서비스의 이해
    노인맞춤돌
    봄서비스의 이해
    노인맞춤돌봄
    서비스의 이해
    노인맞춤돌봄
    서비스의 이해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추진배경 및 개요(사업 개요, 제공체계 및 인력구성 등)

    2025년도 지침 주요 변경사항 안내

    3차시
    특화서비스의 이해 특화서비스의 이해 특화서비스 집단별 접근방법 특화서비스 집단별 접근방법

    대상자 특성 및 집단별 개입방법

    집단별 주요서비스 및 개입 결과 사례

    2차시
    특화서비스 집단프로그램의 실제 특화서비스 집단프로그램의 실제

    집단 대상의 실천 및 기획방법

    집단 프로그램 운영 및 발달 단계별 과업

    2차시
    특화서비스 행정실무 특화서비스 행정실무

    제공단계별 사례를 활용한 서식 작성 연습

    2차시
    사례관리의 실제 사례관리의 실제

    사례관리 구성체계의 이해

    사례관리 단계별 개입방법

    4차시
    노년기 정신건강의 문제와 인지기능 저하의 이해 노년기 정신건강의 문제와 인지기능 저하의 이해

    노년기 정신건강 및 사례

    정신질환의 종류 및 대처방법

    4차시
    종사자의 자세 종사자의 자세 사회복지 실천윤리 사회복지 실천윤리

    사회복지실천의 가치와 윤리

    -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윤리적 의사결정

    2차시
    종사자의 인권과
    안전관리
    종사자의 인권과
    안전관리

    인권의 이해, 종사자 인권보호의 중요성

    인권침해 유형에 따른 예방 및 대응법

    주체별 인권침해의 예방 및 대응

    3차시
    소계 22차시
    심화교육 심화교육 고위험 노인관리 고위험 노인관리 자살예방 자살예방

    자살 경고 신호에 대한 이해 및 위험성 평가

    자살위기 상담기술, 응급상황 시 법적 절차

    2차시
    학대예방 학대예방

    학대신호 및 발견 방법

    노인복지시설 내 학대사례 및 조치방안
    ※ 법정의무교육(노인학대 예방 교육) 이수 갈음

    2차시
    치매예방 치매예방

    치매의 정의, 종류, 특징

    치매 대상자의 돌봄 및 예방방안

    2차시
    노인상담 노인상담 내러티브 노인상담의 이해 내러티브 노인상담의 이해

    내러티브 상담의 기본배경

    내러티브 상담을 적용한 치료적 대화, 기법

    5차시
    사례관리 사례관리 고위험 노인의
    사례관리
    고위험 노인의
    사례관리

    노인 정신건강의 기본원칙

    고위험 노인(우울, 알코올, 자살)의 개입방법

    4차시
    프로그램 프로그램 집단프로그램의
    이해와 실제
    집단프로그램의
    이해와 실제

    노인복지 및 집단프로그램의 이해

    집단프로그램 지도방법

    4차시
    자원연계 자원연계 지역사회 자원연계의 이해 지역사회 자원연계의 이해

    지역사회 연계 및 활용 가능한 공공복지 안내

    지역사회 자원연계 활용사례

    2차시
    종사자의 자기돌봄 종사자의 자기돌봄 관계성장을 위한
    자기이해
    관계성장을 위한
    자기이해

    자기이해 및 탐색방법

    자기이해를 바탕으로 한 동기면담 탐색

    2차시
    노무실무의 이해 노무실무의 이해 종사자가 알아야 할
    기초 노무 지식
    종사자가 알아야 할
    기초 노무 지식

    종사자가 알아야 할 기초 노무지식(근로계약, 휴가, 임금, 퇴직)

    4차시
    소계 27차시

    - 특화서비스 경력자 과정 : 총 30차시 (기초 22차시+심화 8차시 이상)

    구분 주제 과목명 교육내용 교육차시
    기본교육 기본교육 노인맞춤돌봄
    서비스의 이해
    노인맞춤돌봄
    서비스의 이해
    노인맞춤돌봄
    서비스의 이해
    노인맞춤돌봄
    서비스의 이해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추진배경 및 개요(사업 개요, 제공체계 및 인력구성 등)

    2025년도 지침 주요 변경사항 안내

    3차시
    특화서비스의 이해 특화서비스의 이해 특화서비스 집단별 접근방법 특화서비스 집단별 접근방법

    대상자 특성 및 집단별 개입방법

    집단별 주요서비스 및 개입 결과 사례

    2차시
    특화서비스 집단프로그램의 실제 특화서비스 집단프로그램의 실제

    집단 대상의 실천 및 기획방법

    집단 프로그램 운영 및 발달 단계별 과업

    2차시
    특화서비스 행정실무 특화서비스 행정실무

    제공단계별 사례를 활용한 서식 작성 연습

    2차시
    사례관리의 실제 사례관리의 실제

    사례관리 구성체계의 이해

    사례관리 단계별 개입방법

    4차시
    노년기 정신건강의 문제와 인지기능 저하의 이해 노년기 정신건강의 문제와 인지기능 저하의 이해

    노년기 정신건강 및 사례

    정신질환의 종류 및 대처방법

    4차시
    종사자의 자세 종사자의 자세 사회복지 실천윤리 사회복지 실천윤리

    사회복지실천의 가치와 윤리

    -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윤리적 의사결정

    2차시
    종사자의 인권과
    안전관리
    종사자의 인권과
    안전관리

    인권의 이해, 종사자 인권보호의 중요성

    인권침해 유형에 따른 예방 및 대응법

    주체별 인권침해의 예방 및 대응

    3차시
    소계 22차시
    심화교육 심화교육 노인정책 노인정책 노인복지의 이해 노인복지의 이해

    노인복지의 주요 변천사

    노인복지법 및 사회보장제도 안내

    3차시
    고위험 노인관리 고위험 노인관리 자살예방 자살예방

    자살 경고 신호에 대한 이해 및 위험성 평가

    자살위기 상담기술, 응급상황 시 법적 절차

    2차시
    학대예방 학대예방

    학대신호 및 발견 방법

    노인복지시설 내 학대사례 및 조치방안
    ※ 법정의무교육(노인학대 예방 교육) 이수 갈음

    2차시
    치매예방 치매예방

    치매의 정의, 종류, 특징

    치매 대상자의 돌봄 및 예방방안

    2차시
    상담 상담 내러티브 노인상담의 이해 내러티브 노인상담의 이해

    내러티브 상담의 기본배경

    내러티브 상담을 적용한 치료적 대화, 기법

    5차시
    강점관점 해결중심
    상담의 이해
    강점관점 해결중심
    상담의 이해

    강점관점 해결중심 상담의 이해

    기법을 활용한 돌봄서비스 상담 방법

    7차시
    동기강화 상담의 이해 동기강화 상담의 이해

    동기강화 상담의 이해

    기법을 활용한 돌봄서비스 상담 방법

    5차시
    인지치료 상담의 이해 인지치료 상담의 이해

    노인 상담사례를 통한 인지치료 상담

    개인, 가족 개입의 사례 접근 방법

    4차시
    사례관리 사례관리 고위험 노인의
    사례관리
    고위험 노인의
    사례관리

    노인 정신건강의 기본원칙

    고위험 노인(우울, 알코올, 자살)의 개입방법

    4차시
    프로그램 프로그램 집단프로그램의
    이해와 실제
    집단프로그램의
    이해와 실제

    노인복지 및 집단프로그램의 이해

    집단프로그램 지도방법

    4차시
    프로그램 기획과 운영 프로그램 기획과 운영

    프로그램 계획서 작성법

    노인맞춤돌봄서비스 프로그램 운영사례

    4차시
    조직・실무 조직・실무 아름다운 직장문화
    만들기
    아름다운 직장문화
    만들기

    직장 내 예절 및 대화기술

    2차시
    종사자가 알아야 할
    기초노무지식
    종사자가 알아야 할
    기초노무지식

    종사자가 알아야 할 기초 노무지식(근로계약, 휴가, 임금, 퇴직)

    4차시
    관계성장을 위한
    자기이해
    관계성장을 위한
    자기이해

    자기이해 및 탐색방법

    자기이해를 바탕으로 한 동기면담 탐색

    2차시
    지역사회 연계 및
    ICT
    지역사회 연계 및
    ICT
    스마트 돌봄 스마트 돌봄

    스마트 돌봄의 이해

    스마트 돌봄사례(공공, 민간)

    2차시
    지역사회 자원연계의 이해 지역사회 자원연계의 이해

    지역사회 연계 및 활용 가능한 공공복지 안내

    지역사회 자원연계 활용사례

    2차시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이해 노인맞춤돌봄
    서비스의 이해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제공절차의 이해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제공절차의 이해

    이용자 특성 및 서비스 욕구 분석

    서비스 제공 절차별 필요기술 적용 방법(절차별 수행방법, 서식 작성 등)

    6차시
    전체 과목 중 8차시 이상 수강
    생활지원사 직무교육
  • - 신규자 과정 : 총 31차시 (기초 20차시+심화 11차시)

    구분 주제 과목명 교육내용 교육차시
    기본교육 기본교육 노인맞춤돌봄
    서비스의 이해
    노인맞춤돌봄
    서비스의 이해
    노인맞춤돌봄
    서비스의 이해
    노인맞춤돌봄
    서비스의 이해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추진배경 및 개요(사업 개요, 제공체계 및 인력구성 등)

    2025년도 지침 주요 변경사항 안내

    3차시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제공관리의
    이해와 실제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제공관리의
    이해와 실제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제공 절차 안내

    이용자 특성 및 서비스 욕구 분석

    2차시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이용자 상담의 실제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이용자 상담의 실제

    노인의 신체적, 심리적 변화에 대한 이해

    대상자와의 관계형성기술 습득

    노인 의사소통 및 상담 원칙노인 의사소통 및 상담 원칙

    2차시
    고위험 노인관리 고위험 노인관리 자살예방 자살예방

    자살 경고 신호에 대한 이해 및 위험성 평가

    자살위기 상담기술, 응급상황 시 법적 절차

    2차시
    학대예방 학대예방

    학대신호 및 발견 방법

    노인복지시설 내 학대사례 및 조치방안
    ※ 법정의무교육(노인학대 예방 교육) 이수 갈음

    2차시
    치매예방 치매예방

    치매의 정의, 종류, 특징

    치매 대상자의 돌봄 및 예방방안

    2차시
    종사자의 자세 종사자의 자세 사회복지 실천윤리 사회복지 실천윤리

    사회복지실천의 가치와 윤리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윤리적 의사결정

    2차시
    종사자의 인권과 안전관리 종사자의 인권과 안전관리

    인권의 이해, 종사자 인권보호의 중요성

    인권침해 유형에 따른 예방 및 대응법

    주체별 인권침해의 예방 및 대응

    3차시
    아름다운 직장문화
    만들기
    아름다운 직장문화
    만들기

    직장 내 예절 및 대화기술

    1차시
    소계 20차시
    심화교육 심화교육 노인정책 노인정책 노인복지의 이해 노인복지의 이해

    노인복지의 주요 변천사

    노인복지법 및 사회보장제도 안내

    3차시
    상담 상담 인지치료 상담의 이해 인지치료 상담의 이해

    노인 상담사례를 통한 인지치료 상담

    개인, 가족 개입의 사례 접근 방법/p>

    4차시
    지역사회 연계 및
    ICT
    지역사회 연계 및
    ICT
    스마트 돌봄 스마트 돌봄

    스마트 돌봄의 이해

    스마트 돌봄사례(공공, 민간)

    2차시
    지역사회 자원연계의 이해 지역사회 자원연계의 이해

    지역사회 연계 및 활용 가능한 공공복지 안내

    지역사회 자원연계 활용사례

    2차시
    소계 11차시

    - 경력자 과정 : 총 26차시 (기초 20차시+심화 6차시)

    구분 주제 과목명 교육내용 교육차시
    기본교육 기본교육 노인맞춤돌봄
    서비스의
    이해와 실제
    노인맞춤돌봄
    서비스의
    이해와 실제
    노인맞춤돌봄
    서비스의 이해
    노인맞춤돌봄
    서비스의 이해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추진배경 및 개요(사업 개요, 제공체계 및 인력구성 등)

    2025년도 지침 주요 변경사항 안내

    3차시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제공절차의 이해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제공절차의 이해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제공 절차 안내

    이용자 특성 및 서비스 욕구 분석

    2차시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이용자 상담의 실제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이용자 상담의 실제

    노인의 신체적, 심리적 변화에 대한 이해

    대상자와의 관계형성기술 습득

    노인 의사소통 및 상담 원칙

    2차시
    고위험 노인관리 고위험 노인관리 자살예방 자살예방

    자살 경고 신호에 대한 이해 및 위험성 평가

    자살위기 상담기술, 응급상황 시 법적 절차

    2차시
    학대예방 학대예방

    학대신호 및 발견 방법

    노인복지시설 내 학대사례 및 조치방안
    ※ 법정의무교육(노인학대 예방 교육) 이수 갈음

    2차시
    치매예방 치매예방

    치매의 정의, 종류, 특징

    치매 대상자의 돌봄 및 예방방안

    2차시
    종사자의 자세 종사자의 자세 사회복지 실천윤리 사회복지 실천윤리

    사회복지실천의 가치와 윤리

    -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윤리적 의사결정

    2차시
    종사자의 인권과
    안전관리
    종사자의 인권과
    안전관리

    인권의 이해, 종사자 인권보호의 중요성

    인권침해 유형에 따른 예방 및 대응법

    주체별 인권침해의 예방 및 대응

    3차시
    아름다운 직장문화
    만들기
    아름다운 직장문화
    만들기

    직장 내 예절 및 대화기술

    2차시
    소계 20차시
    심화교육 심화교육 (A형)
    사례관리
    (A형)
    사례관리
    사례관리의 실제 사례관리의 실제

    사례관리 구성체계의 이해

    사례관리 단계별 개입방법

    4차시
    노인 의사소통 및 상담 노인 의사소통 및 상담

    노화에 대한 이해

    노인 의사소통 및 상담의 원칙

    2차시
    (B형)
    노인상담
    (B형)
    노인상담
    인지치료 상담의 이해 인지치료 상담의 이해

    노인 상담사례를 통한 인지치료 상담

    개인, 가족 개입의 사례 접근 방법

    4차시
    관계성장을 위한
    자기이해
    관계성장을 위한
    자기이해

    자기이해 및 탐색방법

    자기이해를 바탕으로 한 동기면담탐색

    2차시
    (C형)
    노년기
    자기돌봄과 정신건강
    (C형)
    노년기
    자기돌봄과 정신건강
    노년기 정신건강의
    문제와 인지기능
    저하의 이해
    노년기 정신건강의
    문제와 인지기능
    저하의 이해

    노년기 정신건강 및 사례

    정신질환의 종류 및 대처방법

    4차시
    노인돌봄 기술과
    자기돌봄의 이해
    노인돌봄 기술과
    자기돌봄의 이해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수행과정별 필요기술 안내

    노년기 자기돌봄(self-care)의 이해

    2차시
    (D형)
    자원연계 및 ICT
    (D형)
    자원연계 및 ICT
    지역사회 자원연계의 이해 지역사회 자원연계의 이해

    지역사회 연계 및 활용 가능한 공공복지 안내

    지역사회 자원연계 활용사례

    2차시
    스마트 돌봄 스마트 돌봄

    스마트 돌봄의 이해와 실제

    스마트 돌봄사례(공공, 민간)

    2차시
    노인돌봄 기술과
    자기돌봄의 이해
    노인돌봄 기술과
    자기돌봄의 이해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수행과정별 필요기술 안내

    노년기 자기돌봄(self-care)의 이해

    2차시
    (E형)
    사례관리 심화
    (E형)
    사례관리 심화
    고위험 노인의
    사례관리
    고위험 노인의
    사례관리

    노인 정신건강의 기본원칙

    고위험 노인(우울, 알코올, 자살)의 개입방법

    4차시
    노인 의사소통 및 상담 노인 의사소통 및 상담

    노화에 대한 이해

    노인 의사소통 및 상담의 원칙

    2차시
    심화교육 A형 ~ E형 중 택 1 (6차시)
  • 역량강화교육

    역량강화교육은 보건복지부(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중앙노인돌봄지원기관)), 시·도(광역지원기관) 및 시·군·구, 수행기관에서 수행인력의 역량강화 및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질 제고를 위한 교육입니다.

    1. 교육기관

      (중앙) 보건복지부, 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중앙노인돌봄지원기관)

      (광역) 시·도, 광역지원기관

      (지역) 시·군·구, 수행기관

    2. 교육내용

      수행인력의 역량강화를 위하여 유관기관 연계 및 전문가 섭외를 통해 진행되는 교육 등

      * 예: 사례관리전문가 교육, 노인전문상담가, 지역사회 자원개발 및 관리 등

      ** 수행인력의 업무, 교육욕구, 경력 등을 고려하여 교육계획 수립 및 진행 필요(전담사회복지사 업무매뉴얼 참조)

  • 심리지원교육

    심리지원교육은 수행인력의 위기상황 및 피해에 대한 트라우마 치료 또는 힐링을 위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교육

    1. 교육기관

      (중앙) 보건복지부, 중앙노인돌봄지원기관(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

      (광역) 시·도, 광역지원기관

      (지역) 시·군·구, 수행기관

    2. 교육내용

      수행인력의 위기상황 및 피해에 대한 트라우마 치료, 힐링을 위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교육 등

      * 예: 외상 후 스트레스 관리, 소진 예방 등